2022. 11. 15. 15:59ㆍWeb/Network
IPv6 프로토콜
- 주소 공간의 확장 : IPv4의 32비트에서 128비트로 확장
- 헤더 구조 단순화 : 불필요한 필드 제외하고, 옵션은 모두 확장 헤더 방식으로 지원
- 흐름 제어 기능 지원 : Flow Label 도입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예측 가능한 데이터 흐름을 지원
IPv6 헤더
기본 헤더
- Version Number : 6
- DS/ECN 필드 : 차등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6비트의 DS 필드와 2비트의 ECN 필드가 정의됨
- Flow Label : IPv4에서는 패킷 중개 시 동일한 기준만을 적용, 각 패킷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 서비스가 필요한 응용 환경에서 유용. 0이 아닌 동일 번호 패킷들은 주요 필드에 대해 동일한 값들을 가지며, 이는 중개 과정을 간단히 처리할 수 있음. 값은 랜덤하게 선택
- Payload Length : 헤더를 제외한 패킷의 크기
- Next Header : 기본 헤더 다음에 위치하는 헤더의 유형
- Hop Limit : IPv4의 TTL 필드와 동일한 역할 수행
- Source Address / Destination Address : IPv6 주소
IPv4 VS IPv6
확장 헤더
- Hop-by-Hop Options Header
- Routing Header
- Fragment Header
- Destination Options Header
- Authentication Header
- Encapsulating Security Payload Header
IPv6 주소
- 16비트의 숫자 8개를 콜론으로 구분
- 대부분의 자리가 0의 숫자를 갖게 되므로, 0000을 하나의 0으로 축약하거나, 혹은 아예 연속되는 0의 그룹을 없애고 ':'만을 남길 수 있음.
- 앞자리의 0도 축약 가능
- 전역 유니캐스트 주소 : 공용 토폴로지, 사이트 토폴로지, 인터페이스 ID로 구성
- 링크 로컬 주소 : 로컬 네트워크 링크에서만 사용
- 사이트 로컬 주소 : 하나의 조직, 회사 내에서 유효한 주소
*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크(3판) 책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61352064
'Web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네트워크 계층(3) (0) | 2022.11.15 |
---|---|
8. 네트워크 계층(2) (0) | 2022.11.15 |
7. IP 프로토콜(3) (0) | 2022.11.05 |
7. IP 프로토콜(2) (0) | 2022.11.05 |
7. IP 프로토콜(1) (0) | 2022.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