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1. 5. 13:46ㆍWeb/Network
간단한 라우팅 프로토콜
- 최단 경로 라우팅 : 거리 기준은 다양하지만 중간에 거쳐가는 홉 수로 판단.
패킷이 목적지로 가는 동안 거치는 라우터 수가 최소가 되도록 경로 선택
- 플러딩 : 라우터가 입력된 패킷을 출력 가능한 모든 경로로 중개하는 방식
네트워크에 패킷이 무한개 만들어질 위험. 중요한 데이터를 모든 호스트에게 동시에 전달하는 환경에서 사용
거리-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터가 자신과 직접 연결된 주변 라우터에게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
-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
- 이웃 라우터에게만 전달
- 일정한 주기로 정보 공유
교환 정보는 전체 네트워크에 속하는 개별 네트워크까지 걸리는 거리 정보
개별 라우터에서 유지하는 필수 정보
- 링크 벡터 :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 정보
- 거리 벡터 : 전체 개별 네트워크에 대한 거리 정보
- 다음 홉 벡터 : 개별 네트워크로 가기 위한 다음 홉 정보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
주변 라우터가 제공하는 거리 벡터 정보가 임의의 짧은 시간 내에 모두 도착해야함.(현실적으로 구현 어려움)
라우팅 정보 수정하는 경우 거리 벡터 정보가 새로운 네트워크 주소면 적용, 목적지까지의 지연이 더 적으면 기존 경로를 대체.
임의의 라우터로부터 거리 벡터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라우터를 다음 홉으로 하는 등록 정보가 있으면 새로운 정보로 수정
> R1의 라우팅 테이블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거리-벡터 프로토콜의 단점 개선
- 주변 상황에 변화가 있을 때
- 주변 라우터까지의 정보를
- 모든 라우터에게 전달
플러딩 방식을 사용해서 정보 전달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프로토콜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
-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경로 벡터는 경로에 관한 거리 정보 값이 필요 없는 방식
-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과 비교하면 거리에 대한 처리 과정이 없고, 목적지 네트워크에 도착하기 위한 자율 시스템에 대한 내용만 포함함.
- BGP(Border Gareway Protocol) : 인터넷에세 많이 사용. 서로 다른 종류의 AS 간 정보 교환 가능. TCP를 이용해 정보 교환
*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크(3판) 책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61352064
'Web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네트워크 계층(1) (0) | 2022.11.15 |
---|---|
7. IP 프로토콜(3) (0) | 2022.11.05 |
7. IP 프로토콜(1) (0) | 2022.11.05 |
6. 데이터링크 계층(2) (0) | 2022.10.31 |
6. 데이터링크 계층(1) (0) | 2022.10.31 |